충남 수소 국가혁신 클러스터는 충남 수소경제를 선도합니다.
충남 수소 국가혁신 클러스터는 충남 수소경제를 선도합니다.
충남 수소 국가혁신 클러스터는 충남 수소경제를 선도합니다.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기업 간편지원 신청 안내(마감)
2022년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기업지원(사업화, 고부가가치화)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사업에 신청할 기업은 작성서류를 제출하시거나, 아래 링크로 이동,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셔도 됩니다. (신청링크: http://cn-h2cluster.com/bbs/board.php?tbl=bbs23&mode=VIEW&num=7&category=&findType=&findWord=&sort1=&sort2=&it_id=&shop_flag=&mobile_flag=&status=&s_start=&s_end=&page=1)
글로벌앤로컬브레인파크2022-05-182022년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기획역량 강화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사업에 신청할 기업은 작성서류를 제출하시거나, 아래 링크로 이동,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셔도 됩니다. (신청링크: http://cn-h2cluster.com/bbs/board.php?tbl=bbs23&mode=VIEW&num=6&category=&findType=&findWord=&sort1=&sort2=&it_id=&shop_flag=&mobile_flag=&status=&s_start=&s_end=&page=1)
글로벌앤로컬브레인파크2022-05-18아래와 같이 한-영 수소기업 사업화 세미나 및 B2B 상담회를 개최하오니,참석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첨부된 참가신청서를 작성하여 6월 27일(월)까지 메일(jchoi@edresearch.co.kr)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행사개요 및 일정 ◦ 일 시 : 2022년 7월 5일(화) 09:00~14:00 ◦ 장 소 : 천안 신라스테이 2층 회의실 ◦ 주 관 : 충남테크노파크 및 ㈜이디리서치 ◦ 협력기관 : 영국 Innovate UK◦ 참가대상 : 충남 수소기업 글로벌 사업화 협의체 구성원 및 협의체 참여희망 기업, 영국 수소기업 12개소 ◦ 프로그램(안) : 순차통역 진행시간프로그램 내용 대상 기관/기업08:50-09:00(10‘)참가 등록 참석자09:00-09:05(5‘)인사말충남도청09:05-09:10(5‘)영국 수소기업의 한국 방문 프로그램(GBIP) 소개Innovate UK09:10-09:30(20‘)충남테크노파크 소개 및 수소 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충남테크노파크최일용 팀장09:30-09:50(20‘)한-영 수소기업의 비즈니스 협력 사례Pure Energy ProfessionalsBruce Woodman 상무이사09:50-10:10(20‘)탄소중립을 위한 한국 정부의 수소 연료전지 분야 정책 방향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박구곤 실장10:10-10:30(20‘)AFC Energy의 수소 사업 현황 및 한국기업과의 협력 기회AFC EnergyMark Bailey CCO10:30-10:50(20‘)Intelligent Energy의 수소 연료전지 사업 현황Intelligent EnergyDennis Hayter 부사장10:50-11:15(25‘)Q&A 및 휴식참석자11:15-13:00(105‘)<B2B 상담회>한-영 수소 기업 간 1:1 협력 논의충남 및 영국 수소 기업13:00-14:00(60‘)점심 (호텔 뷔페)참석자◦ 문의 : (주)이디리서치 최진영 선임 (02-3016-5403)
최진영2022-06-24관리자2022-04-19
관리자2022-04-15
관리자2022-04-15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전담기관인 충남테크노파크는 2021년 11월 주한영국대사관에서 영국 ESC(Energy System Catapult)와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충남의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혁신클러스터와 수소에너지 전환 규제자유 특구 사업 등을 통해 해외 진출 공동 지원, 공동 국제 R&D 발굴 및 수행 등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수소를 비롯한 저탄소 에너지 정책 정보 교환 및 혁신, 비즈니스 관계 증진에 목적을 두었습니다.필요시 배터리, 전기모터 등 다양한 분야로도 협력을 확대할 수 있으며, 수소활동과 관련한 정기적인 회의를 진행함으로써 각 국의 수소전략과 협력을 위한 상징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로 하였습니다.
관리자2021-11-12충남테크노파크는 9월 8일(수)부터 11일(토)까지 일산 킨텍스(KINTEX) 9홀에서 열리는 '2021 수소모빌리티+쇼(H2 MOBILITY+ENERGY SHOW 2021)'에 참가했다.충남테크노파크(이하 충남TP)는 기술혁신을 통한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 고도화를 목적으로 1999년 설립된 지역혁신 기관이다.이번 전시회에서 충남TP는 충남 수소 국가혁신클러스터와 충남 수소기업 홍보에 나섰다.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사업은 R&D와 비R&D로 구성되어 있으며, R&D사업으로 대형수소전기화물트럭 부품 국산화 및 개조기술 개발로 파워트레인, 연료저장장치, 열관리 장치 등 핵심부품 국산화와 실증을 하고 있다. 비R&D사업으로는 수소기업의 투자유치 활동과 기업지원을 통해 지역의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충청남도는 대표산업으로 수소산업을 지정하고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8년부터 3년 동안 수행된 1단계 사업으로 13개 수소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프랑스 PVF, 네덜란드 TNO, NLR 등 해외 4곳과 협력거점을 구축하고 B2B미팅 및 국제 공동세미나 등을 개최하고 있다. 또한, 1단계 사업으로 수소 관련 기업에 80건 이상의 시제품 제작 지원, 특허 및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제품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전시회에 참가한 최일용 충남TP 혁신성장정책팀장은 "현재는 수소산업이 이제 막 태동한 시기로, 기업들이 사업을 전환하거나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여기에 좀 더 탄력을 붙여주려면 지역 단위의 상징적인 프로젝트들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이어 "'여기에 가서 수소 관련 생산이나 연구를 하면 지원을 받을 수 있겠구나'라는 가시적인 정책이 있어야 기업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사업 전환을 하거나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충남TP도 이러한 점을 적극 고려해 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을 펼치고 인력 양성에 나서겠다."라고 밝혔다.한편, 수소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 KOTRA, KINTEX가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가 후원한 '2021 수소모빌리티+쇼'의 전시 품목은 다음과 같다. △수소모빌리티 분야(수소차, 수소드론, 수소선박, 수소철도, 수소건설기계, 수소차 부품, 수소 자전거, 수소 이륜차 등) △수소충전인프라 분야(수소충전소, 수소생산, 저장, 운송, 소형 수소 모빌리티 충전기 등) △수소에너지 분야(연료전지, 신재생에너지) 출처 - 에이빙뉴스 최예원기자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633267&Branch_ID=kr&rssid=naver&mn_name=news
관리자2021-10-25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전담기관인 충남테크노파크는 2021년 8월, 중국의 EU 프로젝트 혁신 센터(EU Project Innovation Center, EUPIC)와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MoU를 통해 충남 수소 클러스터 기업과 청두 및 칭다오 수소 산업단지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며 각 클러스터 및 산업단지의 수소 에너지 산업에 대한 협력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중국의 유일한 프로젝트 혁신 센터인 EUPIC은 중국과 EU에서 공동으로 지원 및 구축한 국제적인 협력 플랫폼이며, 중국 청두 및 칭다오 기업과 유럽 기업 간의 무역, 투자, 기술 협력 등 글로벌 혁신을 촉진합니다.
관리자2021-10-25충남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은 프랑스 미래자동차클러스터(PVF)는 지난 해 11월 양국 간 수소산업 생태계 공유를 위한 공동웨비나 「First Hydrogen, Korean-French, Business & innovation webinar」를 개최한데 이어, 2차 공동웨비나를 6월17일(목)에 개최하였습니다. 2차 공동웨비나는 지난 12월 양 기관의 MOU 체결 이후 열린 첫 행사로 한국과 프랑스의 수소 관련 연구소·대학교·기업 간 교류와 및 B2B 매칭을 목적으로 열렸습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미래자동차클러스터(PVF), FCLAB(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소속 연구연맹), 프랑슈콩테 대학(Université de Franche-Comté), 뢰슬러(Rösler France)사, 슈레이더(SCHRADER SAS)사가 발표 및 토론자로 참여했으며 그 외 관심기업이 참관하여 총 49명이 웨비나에 참여하였습니다. 각 발표기관은 각자 담당하고 있는 수소분야 연구와 기술개발 사례, 네트워크를 공유했고 특히 에너지기술연구원의 최상진 실장 발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배진우 교수 발표, 영화테크의 발표에 많은 관심을 보였고 유럽 차원에서 개최되는 Hydrogen business for climate belfort(2021.09)에 초청하기도 하였습니다. 발표시간 이후 이루어진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프랑스 수소분야 전문가인 Laurent Meillaud씨가 모더레이터로 나서 기관·기업 간 협력방안에 대한 모색을 진행하였습니다. 충남테크노파크의 유용구 단장은 이번 웨비나 이후 구체적인 연구주제로 좀 더 좁히고 펀딩까지 고려하여 실제 성과가 나올 수 있는 논의의 장으로 발전시킬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특히 대학과 연구소 중심의 공동 R&D와 수요와 공급에 기반한 비즈니스 교류 자리로 각기 발전시킬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관리자2021-10-25충남테크노파크는 2020년 12월, 네덜란드응용과학연구소(TNO)와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 MoU를 통해 두 기관은 수소 생산, 수소 저장 및 운송, 탄소 포집/활용/저장(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부분 협력을 진행할 예정입니다.TNO는 1932년에 설립되어, 2600명 이상의 직원이 근무하는 네덜란드의 독립적 연구기관입니다. 건설, 순환경제 및 환경, 국방, 에너지, 건강, 산업환경, ICT, 정책연구, 교통 등 9개의 사회적 테마 관련으로 응용 연구를 진행하며, 수소 산업 관련으로는 그린수소, 수소 저장 및 이송, 연료전지 및 수소 활용 등의 연구가 있습니다.
관리자2021-10-25프랑스 PVF와 수소 협약네덜란드·영국 기관 맞손충청남도는 올해 수소충전소 확충과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오픈랩사업, 수소에너지전환규제자유특구 사업 선정 등 국가 수소경제 혁신거점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2018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라 의미있는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충청남도가 2019년 발표한 '수소경제 비전'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는 이유다.충남 '수소경제 비전'을 달성하는데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곳이 충남테크노파크(원장 이응기)다.충남테크노파크가 11월 10일 신라스테이 천안에서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프랑스 미래자동차 클러스터(PVF) 웨비나'를 열고 있다. 충남테크노파크는 국가혁신클러스터사업을 통해 2018년부터 수소생산·저장·운송·활용 등 수소산업을 육성하고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네트워크 운영, 글로벌연계, 기업지원 등을 적극 추진 중이다.특히 올해는 글로벌 연계 및 플랫폼 구축이라는 당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의미있는 성과를 달성했다.이를 위해 충남테크노파크는 수소자동차와 에너지활용 분야 전문기관인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국제 플랫폼 구축 전문기관인 글로벌앤로컬브레인파크, 이디리서치를 포함한 글로벌 컨소시엄을 구성해 기술협력과 공동연구,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유기적인 연계협력체계를 구축했다.연계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충남테크노파크는 세계 각국의 수소산업과 연계·협력하는 클러스터 활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지난 1일 충남테크노파크와 프랑스 미래자동차클러스터(PVF, Pole Vehicule Du Futur)는 온라인으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수소산업 육성과 프랑스 동부지역의 수소산업의 기술혁신과 지역 수소산업 저변확대를 위한 내용이다. 양 기관은 충남테크노파크-프랑스PVF 간 △정례회의 개최 △기술교류행사·웨비나 등 공동행사 개최 △공동 프로젝트 지원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프랑스 PVF는 지난 2005년 프랑스 정부의 신산업 육성정책 일환으로 설립된 지원조직이다. 본부는 프랑스 자동차산업의 44%를 차지하는 부르고뉴프랑슈콩테(Bourgogne-Franche-Comte, Grand Est) 지역에 있다. 알스톰(Alstom), 프랑스 전력공사(EDF), 쉐플러(SCHAEFFLER), 세귤라(SEGULA), 포레시아(faurecia) 등 500여개 자동차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미래 모빌리티의 혁신과 경쟁력 강화, 교육 및 연구의 시너지 촉진 등을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지난 8월에는 네덜란드 국립항공우주연구소(NLR)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수소연료를 활용한 항공(드론, 비행기) 관련 기술협력과 공동R&D를 위해서다. 그 외에도 영국 저탄소차전문 비영리컨설팅조직 세넥스(CENEX), 네덜란드 국영 응용과학연구소(TNO)와도 수소의 생산, 운송, 저장, CO₂ 저감기술 협력과 공동 연구개발(R&D)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외에도 충남테크노파크는 네덜란드 온·오프라인 기술교류회(6건), 수소모빌리티쇼와 국제수소에너지전시회 및 포럼(H2World) 참가 등 컨설팅·마케팅 지원 2건을 수행했다. 또 SHFCA포럼과 세넥스LCV 전시 등에 참가해 충남 수소경제 비전을 제시하고 충남 수소기업을 홍보했다.충남테크노파크 이응기 원장은 "수소산업을 중심으로 한 저탄소에너지 정책교류와 기술혁신, 산업생태계를 확장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충남도는 2019년 '수소경제 비전'을 발표하고 충남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국가혁신클러스터, 규제자유특구 사업, 수소연료전지차(FCEV) 부품시험평가센터 구축 등 친환경 수소에너지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가고 있는 중이다.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출처- https://www.naeil.com/news_view/?id_art=372237
관리자2021-10-15새로운 모빌리티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자동차 클러스터인 프랑스미래자동차클러스터(Pole Vehicule du Futur, PVF)와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전담기관인 충남테크노파크는 2020년 12월, 수소 분야에서 CTP 회원과 클러스터 간의 비즈니스 및 혁신 관계를 촉진하기 위한 정보 교환과 공동 행사 운영을 내용으로 한 MoU 체결을 진행했습니다. 유럽 주요 자동차 클러스터 중 하나인 프랑스미래자동차클러스터는 미래 자동차, 모빌리티, 파워트레인, 자율 전기 자동차 및 공정과 재료 혁신 분야의 산업과 연구를 융합하고 있으며 특히 수소분야를 ‘PVF’의 전략적 최우선순위 중 하나로 고정 장치, 모빌리티, 에너지 및 탈탄소에 대한 프로젝트를 활발히 지원하고 있습니다. 프랑스미래자동차클러스터는 약 500여 회원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럽의 다른 20개 자동차 클러스터가 연합한 공동네트워크에도 가입되어 있습니다.
관리자2021-10-152005년 설립된 영국 최초의 저탄소·연료전지기술 연구센터인 Cenex와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전담기관인 충남테크노파크는 2020년 12월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 관련 저탄소 에너지정책 정보 및 인적자원 교류를 위한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Cenex는 영국 통상산업부의 Automotive Unit의 지원으로 설립되었으며 영국 자동차 제조업체가 저탄소 및 연료 전지 기술로의 전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인 비영리·독립연구기관으로 저공해 운송 및 관련 에너지 인프라에 중점을 둔 프로젝트 개발과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서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와 정책적 교류, 공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협력할 예정입니다.
관리자2021-10-15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은 프랑스 미래자동차클러스터(PVF)와의 향후 협력관계 구축 및 양국 수소산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11월10일(화)에 공동웨비나 「First Hydrogen, Korean-French, Business & innovation webinar」를 개최하였습니다. 공동웨비나는 △충남 수소 경제 및 충남테크노파크 국가혁신클러스터 소개 △미래자동차혁신클러스터 소개 및 프랑스 수소 경제·연구활동 소개 △이해관계자 발표 및 질의응답을 통한 상호교류 △유망 분야에서의 협력관계 구축 방안 논의 △상호 협력 세미나 공동주최(협력 연구프로젝트 소개) 세부적 논의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웨비나는 국내 참여기관 및 기업은 신라스테이 천안에 약 25명이 모여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온라인으로는 한국과 프랑스의 기업을 포함, 152명이 접속하며 관심을 보였습니다. 충남테크노파크는 이번 공동웨비나를 시작으로 프랑스미래자동차클러스터와의 지속적 협력을 위한 MOU 체결과 2021년 상반기 참여기업을 위한 B2B 행사를 진행하여 지속적 교류를 이끌어낼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관리자2021-10-15영국 최초의 저탄소·연료전지기술 연구센터인 세넥스가 2020년 11월 영국 LCV 기술 개발 및 활용 분야 홍보와 저탄소 차량 기술 관련 이해관계자 네트워킹을 위한 Cenex Low Carbon Vehicle 2020(이하 Cenex LCV 2020)을 11월18일과 19일, 양일 간 열었습니다. Cenex LCV 2020는 13번째 개최를 맞이했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저탄소차량 △커넥티드 및 자율 주행 차량을 테마로 기관 및 기업 전시회·기술 세미나 및 커뮤니티 네트워킹이 이루어졌습니다.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은 세넥스와의 협력 교류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Cenex LCV 2020 참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후원기관으로 참여, 충남도 수소경제 홍보영상과 국가혁신클러스터 홍보자료를 배포하였으며 전기회 기간 동안 정부 기관 및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관심기업 수요에 따른 1:1 화상 미팅을 지원하였습니다. Cenex LCV 2020는 약 2,000명 이상 접속하였고,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홍보페이지에 그리스, 네덜란드, 독일, 스위스, 일본 등 11개국, Composites UK, PPM Power, Altair, Applus IDIADA UK, Ford Mobility 등 52개 기업, 154명이 관심을 보냈습니다. 이 중 Matt Knight, Team Leader, Hardware Trials and data Integration Team, Cenex가 WiCET 노팅엄&해크니 전기택시 무선충전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충남기업과의 협력의사를 타진하기도 했습니다.
관리자2021-10-15스코틀랜드 수소연료전기협회(SHFCA, Scottish Hydrogen&Fuel Cell Association)가 매년 주관하는 컨퍼런스는 전반적인 영국 수소연료전지에 대한 정책, 인프라, 수요공급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2021년 11월 글래스고(Glasgow)에서 개최될 예정인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와 관련하여 관계자들과의 국제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2020년 10월14일과 15일 양일 간 개최되었습니다. 10월14일(수)에는 수소 및 연료전지에 대한 정부 영국 및 스코틀랜드 정부 정책, 수소 공급망 구축 등에 대한 내용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10월15일(목)에는 수소 인프라구축·수소 수요 및 수요를 통한 수소경제 비즈니스모델 구축 등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은 컨퍼런스의 파트너십 기관으로 참여하여 SHFCA의 명예회원으로 등록되었습니다. SHFCA 뉴스레터와 컨퍼런스 웹사이트 등 SHFCA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 4개 주제 포럼에서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를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으며, 세션 이후 충남 수소 경제 비전 영상 상영 등 적극적인 홍보를 진행하였고, 충남도 수소경제 홍보를 통한 협력 기업과 Scottish Enterprise Technology Park 등 기관의 협력 네트워크를 발굴하였습니다.
관리자2021-10-152020년 10월21일(수)부터 23일(금)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2020 국제수소에너지전시회 및 포럼(H2WORLD 2020)는 수소·연료전지산업의 기술·제품·정보는 물론 타 에너지와의 융합모델, 수소에너지 시장 확대와 산업 성장, 미래성장 동력인 ‘수소산업’의 확장을 테마로 개최되었습니다. 이에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은 H2 World 부스 참가를 통해 충청남도의 수소경제와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에 대한 대외 홍보와 R&D 참여기업을 위한 마케팅을 지원하였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영화테크와 아모센스 2개 기업을 홍보하였습니다. 이번 충남관에는 관심기업 및 기관 관계자 약 400명이 방문하였으며, 수소에너지 및 수소차 부품 관련 전문가, 기업, 혁신기관, 언론인 등 방문 상담 및 인적교류가 이루어졌습니다. 스웨덴, 캐나다, 벨기에, 네덜란드 대사관 담당자 방문 후 교류도 요청하는 등 글로벌 연계를 위한 사전활동도 진행되었습니다.
관리자2021-10-15유럽 내 6위 수준의 항공우주산업을 차지하고 있는 네덜란드는 항공기 제작 및 운항 관련 산업은 100년 가까이 진행돼 왔으며 TU Delft, Airborne TNO, NLR, DSM, Royal ten Cate 등 해당 산업 내 유명 다국적 기업 및 기관이 있습니다. 1919년 설립된 네덜란드 국립항공우주연구원((Netherlands Aerospace Centre, NLR)은 효율적이며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항공 운송을 실현하는 것을 사명으로 연구, 개발, 테스트 및 평가 등 항공분야 전 단계에서의 정부와 민간 분야 혁신, 경쟁력 및 효율성을 지원하는 전문기관입니다. 충남테크노파크는 2020년 8월, NLR과 액화수소 드론 파워팩 실증, 드론용 액화수소 용기 실증, 해안선 감시 및 도서지역 긴급물품 배송 실증분야 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한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NLR은 2070년까지 무공해 항공을 목표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특히 수소가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양 기관 간 교류 성과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관리자2021-10-14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은 2020년 7월1일(수)부터 3일(금)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0 수소모빌리티+쇼에 참가하여 충남도 수소 경제 홍보 및 국가혁신 클러스터 사업 홍보활동을 진행했습니다.세계 최초, 국내 최대 수소모빌리티 전시회 참가를 통해 해당 부스에서 충남도 수소 경제 및 충남테크노파크 국가혁신클러스터 발전 비전·전략·로드맵을 소개하는 동시에 클러스터 내 핵심기업 유치 계획 및 연계 계획을 보여주었고 국가혁신클러스터 R&D 프로젝트참여 기업 4곳(영화테크, 아모센스, 지엠비코리아, 엔케이)에 대한 홍보를 지원했습니다.부스운영과 연계하여 △전담기관과 참여기업 간 전문가회의 △영국대사관(과학기술부, 국제통상부)과의 국제협력 미팅 △한·영기업 간 비즈니스 미팅 △한·네기업 간 비즈니스 미팅이 이루어졌습니다.전시회 참가 결과, 산업통상자원부, 현대자동차, 두산인프라코어, 스페인대사관 등 기업 및 기관 관계자 약 550명이 방문하여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습니다.
관리자2021-10-14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은 2019년 9월3일(화)부터 6일(금)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된 2019 대한민국 에너지대전(Korea Energy show 2019)에 참가하여 국내 기업·기관들에게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 및 기업지원에 대한 홍보를 진행했습니다.에너지대전 참가를 통해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발전 비전 및 전략, 로드맵 소개와 클러스터 내 핵심기업 유치 계획 및 연계 계획도 안내하였으며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기술동향 및 수요 파악과 클러스터 내 기업 유치홍보 및 상담을 진행하였습니다.전시회 참가, 부스 운영결과, LG전자, 현대제철, 신성이엔지, 한국가스기술공사 등 160개 기관 및 기업에서 총 240명이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부스에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리자2021-10-14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한-영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수소 및 배터리 분야 공동 R&D 수요조사(재)충남테크노파크에서는 영국 에너지혁신지원기관 ESC(Energy Systems Catapult)와 함께 충남도 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영국 R&D 파트너와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는 2022년도 한-영국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하오니, 지역기업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1. 조사 개요 ◦ 목적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2-134호 「2022년도 한-영국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중 양자 공동펀딩형 R&D 과제 신청을 위한 지역기업 수요 파악 (영국 에너지혁신지원기관 ESC를 통해 현지 영국기업 수요 조사중) ◦ 내용 - 지정 R&D 분야* 관련 지역기업 R&D 수요 및 제안과제 조사 - *(R&D 분야) 배터리(Battery technologies), 수소(Hydrogen mobility technologies) - 제안과제 접수·검토 후 영국 R&D 과제 및 기업·기업 컨소시엄 매칭을 위한 협의, 영문 과제신청서 작성 지원 예정2. 조사 내용 ◦ 조사목적 -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R&D 수요를 파악하여 국제R&D 과제 발굴, 신청에 활용 ◦ 조사대상 - 배터리 및 수소 관련 충남도 내 중소·중견기업 ◦ 조사항목 - 기업현황, 제안과제 개요, 과제 주요내용, 상대국 R&D 요청분야, 소요예산(안) ◦ 조사방법 - 접수기간 : 공고일부터 ~ 2022.4.6.(화) - 신청방법 : 조사서 [서식] 다운로드, 작성 후 E-mail 접수 ·E-mail : sjinhwang@ctp.or.kr ·문의처 : 충남테크노파크 혁신성장정책팀 황승진 주임 (041-589-0108)
관리자2022-03-29관리자2022-03-10
관리자2022-03-10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 한-영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수소 및 배터리 분야 공동 R&D 수요조사(재)충남테크노파크에서는 영국 에너지혁신지원기관 ESC(Energy Systems Catapult)와 함께 충남도 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영국 R&D 파트너와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는 2022년도 한-영국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하오니, 지역기업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1. 조사 개요 ◦ 목적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2-134호 「2022년도 한-영국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중 양자 공동펀딩형 R&D 과제 신청을 위한 지역기업 수요 파악 (영국 에너지혁신지원기관 ESC를 통해 현지 영국기업 수요 조사중) ◦ 내용 - 지정 R&D 분야* 관련 지역기업 R&D 수요 및 제안과제 조사 - *(R&D 분야) 배터리(Battery technologies), 수소(Hydrogen mobility technologies) - 제안과제 접수·검토 후 영국 R&D 과제 및 기업·기업 컨소시엄 매칭을 위한 협의, 영문 과제신청서 작성 지원 예정2. 조사 내용 ◦ 조사목적 -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R&D 수요를 파악하여 국제R&D 과제 발굴, 신청에 활용 ◦ 조사대상 - 배터리 및 수소 관련 충남도 내 중소·중견기업 ◦ 조사항목 - 기업현황, 제안과제 개요, 과제 주요내용, 상대국 R&D 요청분야, 소요예산(안) ◦ 조사방법 - 접수기간 : 공고일부터 ~ 2022.4.6.(화) - 신청방법 : 조사서 [서식] 다운로드, 작성 후 E-mail 접수 ·E-mail : sjinhwang@ctp.or.kr ·문의처 : 충남테크노파크 혁신성장정책팀 황승진 주임 (041-589-0108)
관리자2022-03-29지난 3월23일에 개최된 '2022년 충남기업 수소연료전지 협의체 1차 워크샵' 발표자료를 공유합니다. [첨부 발표자료]1. 충남국가혁신클러스터_기업지원_안내2. 충남기업소개_정우산기3. 미국 캘리포니아 수소연료전지 기업 및 한국과의 협력 방안4. 영국과의 국제협력 및 국제공동연구 발굴 추진경과5. 캐나다 수소연료전지 연구개발 현황 및 국제협력 방안6. Carboncraft 소개 및 한국과의 국제협력 방안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리자2022-03-28관리자2022-03-18
관리자2022-03-10
관리자2022-03-10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정부사업의 지원계획 공고에 대해 안내드립니다.더불어 신규 공고 사업설명회는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하여 별도로 진행하지않으며, 1월 27일(목) 15시 이후에 평가단 홈페이지에 설명자료를 업로드 할 예정이오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충남지역사업평가단 홈페이지(http://cn.irpe.or.kr) - 자료정보 - 자료실] 또한 본 신규사업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SMTECH에서 사업 신청이 가능하오니 참고바랍니다.(http://www.smtech.go.kr)공고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 아래의 문의처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2022년도 지역특화산업육성(비R&D) 지원계획 공고구 분세부내용구 분세부내용프로그램주력산업 비R&D지원기간1년지원규모2,069백만원(국비1,448 / 지방비621)신청접수’22.1~2월지원한도5억원 내외평가선정’22.3월∼4월- 총 지원기간구분지원기간단년과제’22.04.∼’23.03.(12개월)- 과제 문의처 : (재)충남지역사업평가단 / 041-415-2164, 2168- 온라인 접수기간 : 2022. 2. 3.(목) 09:00 ~ 2022. 2. 21.(월) 18:00까지- 온라인 접수처 : http://www.smtech.go.kr/★ 신청서 교부 : 충남지역사업평가단 홈페이지(http://cn.irpe.or.kr/) / 사업계획서 양식, 제출서류 등 다운로드★ 세부지원내용은 붙임문서 및 홈페이지(http://cn.irpe.or.kr/)에서 확인바랍니다.
관리자2022-01-26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비R&D) 추진단 정기 회의 개최 (2022.1.5)□ 회의 개요ㅇ일시: '22.1.5(수) 15:00ㅇ방식: 화상회의(ZOOM) *회의링크는 개별 발송 예정ㅇ참석대상: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 컨소시엄 기관 (충남테크노파크,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디리서치, 브레인파크)□ 회의 내용ㅇ컨소시엄 기관별 '22년 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계획 및 성과지표 점검
관리자2022-01-04Horizon Europe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 컨소시엄에 참여할 한국 파트너 기업을 찾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주제: 데이터 공유(API 등)와 데이터 분석(AI모델 등) 기술을 활용하여, 운송 사업자 유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높은 수익성의 그린수소 운송 시장 모델(데이터 플랫폼)의 개발(영문) Project idea: A data platform that utilizes technologies in data sharing (e.g. APIs) and data analysis (e.g. AI models), in order to facilitate a market model that makes the transportation of green hydrogen profitable enough for transportation companies to engage in that operation. 프로젝트 공고- 프로젝트 공고 오픈/마감: 2022년 5월/10월- 2022년 8월까지 프로젝트 제안서 신청 준비 완료 예정 프로젝트 주관: 핀란드 Hanken School of Economics 한국 파트너 업체 역할- 그린수소 생산자로서, 생산된 데이터와 필요한 소프트웨어 사양 및 플랫폼의 유효성 검사를 위한 사이트 제공 더 자세한 프로젝트 내용은 첨부된 PDF파일을 참고해주시거나,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https://ec.europa.eu/info/funding-tenders/opportunities/portal/screen/opportunities/topic-details/horizon-cl5-2022-d3-02-01 관심이 있으신 기업 담당자분들은 아래 문의처에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이디리서치 최진영 주임연구원(02-3016-5403, jchoi@edresearch.co.kr)
관리자2021-12-2112월 1일(수), 대전에서 제1회 충남기업 수소연료전지 협의체 워크샵을 진행합니다.수소연료전지 분야 국제협력 지원을 위한 협의체 구성 및 운영 방안 논의를 위한 자리를 가질 예정이오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최상진 실장님 - sjinchoi@kier.re.kr 에게 연락 주시면 됩니다.
관리자2021-11-24□ 워크샵 개요◦ 일 시 : ‘21. 11. 04(목) 13:30 ~ 05(금) 16:00◦ 장 소 : 안면도 아일랜드리솜 리조트 그랜드 홀◦ 주 관 : 충남테크노파크◦ 참석대상 :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참여기관 및 수혜기관 관계자 등 □ 워크샵 내용◦ ‘21년 국가혁신클러스터 기업지원 수혜기업(기관) 중간점검◦ ‘21년 국가혁신클러스터 기업지원 최종평가 및 준비 사항 안내◦ ‘21년 국가혁신클러스터 국제공동 R&D 및 B2B미팅 소개◦ ‘22년 국가혁신클러스터 네트워크 운영계획 및 멤버십 홈페이지 안내
관리자2021-11-02Copyright© Chungnam Techno Park. All Rights Reserved.